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술치료이론6

[미술치료]미적 인식이 미술교육에 미치는 영향/로웬펠드<인간을 위한 미술교육>13장 미적 인식의 발달과 미적 교육 이번장에서는:미적 인식의 심오한 개념, 다양한 형태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 그것이 미술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봅니다. 미적 인식을 개발하는 데 창의적인 활동, 예술 감상, 개인 표현 포용을 통해 지각적, 지적, 감정적 경험이 어떻게 향상되는지 살펴봅니다. 예술을 감상하고 창작하는 능력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문화적 맥락의 역할과 미적 취향의 진화를 탐색합니다.     미적 인식이란 미적 대상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이다. 이는 미적 대상의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 그리고 미의 다양한 범주 따위가 이러한 인식에 관여하는 핵심요소들이다.  1.   미적 인식의 의미미적교육은 미술 형태의 창조를 포함하여 미술에서의 방대한 경험 스펙트럼을 다루는 것이다. 그것에 대한 어떤 정의는 미술과 자연에 대한 이해와 .. 2024. 5. 27.
[미술치료]직접쾌락의 포기와 승화의 창조적 결과물/크레이머<치료로서의 미술>19장 커트 아이슬러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평론 커트 아이슬러가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대해 쓴 책(1961)을 읽으면 매우 영감 있고 자극을 받는 경험을 하게 된다. 아이슬러가 보기에 레오나르도의 유년기는 프로이트의 생각보다 더욱 침울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유년기는 쉽게 잠재적이거나 명백한 동성애를 초래했을 것이다. 프로이트는 미소를 짓는 여인, 모나리자가 생모 카테리나의 미소와 닮았다고 가정하였다. 그래서 모나리자를 가까이하게 되면 레오나르도는 깊게 눌려져 있는 초기 영아기의 기억-의식적 기억이 아닌, 승화가 가능한 무의식적 내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억눌려 있던 기억 일부를 끌어올리는 것을 통해 창조적 에너지가 레오나르도로 하여금 남성이 처음 가지는 여성과의 관계에서의 정서를 초상화에 표현할 수 있게 하였다. 아이슬러의 연구에 의하면, 레오나.. 2024. 3. 30.
[미술치료]성에너지와 발달/크레이머<치료로서의 미술>18장 성볼프강 교회의 천사들 이번 장에서는: 미하엘 파허와 토마스 슈완탈러가 만든 유명한 제단의 아기천사의 상징적 중요성을 발견하고, 인간의 발달과 감정적인 만족에 대한 통찰력을 정신분석적 맥락에서 살펴보세요. 사랑, 성, 어린 시절의 환상에서 성인의 열정으로의 여행이라는 주제를 반영하면서, 아기천사 이미지의 시대를 초월한 매력과 그것이 우리의 내면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해 보세요. 오스트리아 볼프강 호수에 있는 성 볼프강 순례교회는 가장 아름다운 고딕 건축 양식 건물 중의 하나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파허 제단(Pacher Alter)은 위대한 목공예가 티롤리안(Tirolean)과 화가 미하엘 파허(Michael Pacher, 1435~1498)에 읳 만들어졌다. 파허의 제단은 바이에른 출신의 바로크 조각가 토마스 슈완탈러(.. 2024. 3. 5.
[미술치료]현대사회의 유혹과 경험의 중요성/크레이머 <치료로서의 미술>15장 미술치료와 유혹적인 환경 이번 장에서는: 이번 장에서는 부모와 아이의 관계에서의 유혹과 도전을 다루며, 미술치료를 통해 실제 세상을 경험하고 상상력을 키워가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부모의 유혹적인 환경으로부터 자란 아이들은 현대 사회에서도 유혹에 노출되며 성장합니다. 테크놀로지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은 자연과의 연결이 중요하며, 양육 방식에서 관심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내 딸들은 파버빌이라는 자신들이 만들어낸 세계로 가기 위하여 몇 시간씩이나 다락방에 틀어박혀 있기 일쑤였다. 이웃의 몇 명 아이들과 나무토막, 마분지박스, 벽돌받침 선반, 직접 만든 구조물 등으로 자신들이 창조한 인물들을 파퍼빌 주민으로 만들었다. 캐롤은 올드필드의 유도된 이미, 그림, 이야기를 이용한 강좌에서 아이들에게 힌트를 주는 방식을 거슬려했다. 올드필.. 2024. 2. 21.
[미술치료]아이가 '나는 그림을 못그려요'라고 하는 이유/로웬펠드<인간을 위한 미술교육>제2장 초등교육에서 창의적인 활동의 중요성/미술을 통한 자아동일화 어린이들이 외부세계로부터 아무 간섭 없이 성장할 수 있다면 그들의 창의적 작업을 위햐서 어떤 특별한 자극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또 어린이들에게 깊이 잠재되어 있는 창의적 충동을 억제하지 않고 활용하게 하면 자기만의 표현에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다. 이러한 창의적 자신감은 문명세계로부터 멀리 떨어져 살고 있는 사람들, 그리고 광고 만화 교육 등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우리는 자유로운 창작에 필요한 자연적인 요소들을 발굴하여 문명화에 의해 파묻혀 있던 것들을 다시 되살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어린이들이 "나는 그림을 못 그리겠어요"라고 할 때마다 어떤 장애가 그들의 생활 속에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장애는 어디에서나 일어날 수 있다. 미술교육의 어려움과 장애.. 2024. 1. 11.
[미술치료]'있어보이는 단어'로 포장하지 말라/크레이머<치료로서의 미술>3장 미술치료와 언어/적응과 부적응의 이분법. 소크라테스와 아인슈타인은 당대 부적응자들이었다 이번 장에서_ 크레이머를 통해 미술 치료에서 언어 선택의 영향을 살펴본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명확한 의사소통의 중요성, 전문 용어 오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짚어준다. 치료효과 자체 보다 과정에서의 비본질적 경향을 지적하며, 습관화되고 적응적인 시스템의 모순에 대항하여 부적응적이더라도 개성과 생명력이 살아있는 전문성을 갖추라고 강조한다. 이디스 크레이머 제1부 크레이머의 개인사 3장 미술치료와 언어 '온라인 북스터디' 강좌들으며 자습 정리 나는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고 자라서 영어에 독일어 악센트가 강하다. 게다가 나는 미술 치료에 있어서 미술의 중심적인 역할에 대하여 매우 강조하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 내가 미술치료에 있어서 언어의 질에 대하여 말하고자 한다면 의아해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그것은 .. 2023.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