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간을위한미술교육8 [미술치료]전도식기-의식적인 형태 '재현'이 처음 시작되는 단계/로웬펠드<인간을 위한 미술교육>제5장The Preschematic Stage(4~6세)/보고 아는 것을 그린다 이번 장에서는: 자신과 외부세계에 대한 '의식적인 형태'의 창조이 시작되는 전도식기의 발달단계를 살펴봅니다. 재현의 구조성, 자신과 대상의 관계성, 색채보다는 형태 중시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모든 작업의 동기부여가 아동 자신과 그 경험으로부터 출발하도록 독려합니다. 자기 자신의 직접적인 반영이 시작되는 전도식기에 교사와 부모로서의 실용적 통찰력을 찾아보도록 합니다. 1. 전도식기의 이해 어린이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표현양식인 의식적인 형태의 창조를 시작한다. 재구성된 난화들은 아이에게나 관찰력이 뛰어난 어른에게나 ‘사람’에 대한 상징으로 인정 받게 된다. 사실적 표현의 첫 상징은 ‘사람’이다. 사람은 전형적으로 머리를 나타내는 하나의 원과 주로 다리나 몸을 나타내는 두 개의 세로선을 그려진다. 어린이의 .. 2024. 1. 26. [미술치료]스스로 답을 찾는 힘을 기르는 미술교육/로웬펠드<인간을위한미술교육>/1장 미술을통한인간교육의의미/미술교육이론 미술치료북스터디 ▷ 부분: 요안나 북스터디 코치 서문 ▷ 미술교육은 물론 미술치료에서 이 책을 놓치게 되면 가장 기본적인 기초를 놓치는 것과 같다. ‘노멀’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무엇이 정상인지 아닌지 조차 알 수 없게 된다. 정상적인 아동의 미술교육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는 것에도 십 년 정도가 걸린다. 추가 부분이 덧대어지기 전인 네번째 개정판을 개인적으로 추천한다. (1947년 로웬펠드 서문)이 책은 미술교육자(미술교사나 일반교사,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의 창의적 작품을 미적 관점으로 가망하려는 사람들뿐 아니라 그들의 창의적인 활동의 근원과 내면을 연구하려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쓰여진 것이다. 또 어린이의 정신적, 정서적 발달에 대하여 이해하려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쓰여졌다. 어린이는 태어나면서부터 예술가이며, 단지 재료.. 2023. 12. 2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