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쉽게읽는심리학2

[책]<오늘도 시작하지 못하는 당신을 위해>내가 그림을 한장도 완성하지 못했던 이유/남은 인생, 완벽주의 아닌 '자기효능감'으로 살기 이럴수가. 나는 완벽주의자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과거와 현재까지 큼직큼직하게 나를 괴롭혀왔던 나의 고질적인 버릇과 문제들이 내 입장에서는 얼토당토 않는 ‘완벽주의’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책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환자들도 나와 같은 입장이다. “저는 완벽주의자가 아닌데요? 저는 그렇게 철두철미하고 목표가 높은 사람이 아니에요.” 내 목표는 그리 높지 않다고, 내가 거창한 것을 바라는 것은 아니라고 끝끝내 부인하고 싶지만, 책을 읽고 나자 나는 실수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압박감을 느끼면서도 눈앞의 문제를 회피하는 행동을 보이는 ‘게으른’ ‘완벽주의자’란 사실이 더더욱 분명해졌다. 많은 이들이 ‘완벽주의자’라 하면 모든 면에서 뛰어나거나 실수 하나 없는 사람, 어마어마한 목표를 세우고 피도 눈물.. 2023. 10. 11.
[책]<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걱정이 현실이 될 확률 5%. 쉽게 읽는 뇌과학 심리학 책 탭핑(Tapping)이란 다섯 손가락을 톡톡톡 가벼게 두드리듯 움직이는 동작이다 의식을 다른 곳으로 돌려 시간을 버는 사이 이성을 작동시켜 충동을 누르는 원리로 귀나 벽을 두드려도 억제 효과가 있다 생각이 내 '뇌(정신)'와 내 '목(육체)'을 조를 때, 오로지 행동(만)이 생각을 덮을 수 있다 원숭이처럼 생각이 날뛸 때, 불안이 월권행사할 때 바로 멱살을 틀어쥐는 방법은 '행동'을 찾는 것이다 지금 무슨 생각(판단, 결정)을 하는 게 맞을 지가 아니라 생각을 제동시킬 행동을 찾는다 달리는 기차를 멈추게 하는 것은 브레이크지만 브레이크가 고장났을 때(스스로 생각 멈춤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선로를 ‘탈출’해야한다 선로를 벗어나게 하는 것이 바로 행동이다 그렇기에 불안의 순간 10초 동안 숨을 내쉬는 것, .. 2023.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