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기] 雜記

[미술치료]조형예술의 중요성과 미적성장/로웬펠드<인간을 위한 미술교육>제11장 조형요소와 원리/미술치료 이론 북스터디

by 돌냥 2024. 2. 17.
반응형

 

이번 장에서는:
조형 예술의 미묘한 영역과, 그것이 교육과 미적 발전 모두에 작용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탐구합니다. 조형 요소와 원리 사이의 상호 작용을 탐구하고, 그것이 어떻게 개인의 표현과 아름다움을 형성하는지 알아봅니다. 선, 공간, 대비, 색심리, 통일성에 대한 통찰과 함께 창작자와 소비자 모두를 위한 미적 교육의 의미를 알아봅니다. 예술이 사회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 깊이 이해하도록 합니다.

 

 

 

조형요소와 원리

조형의 의미를 배워야 하는 사람은 교사이지 학생이 아니다. 교사의 지도를 통해 어린이는 적은 노력으로도 표현과 미에 대한 자질과 욕구(본질)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림해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교사는 해석과 관련된 모든 이론을 배워야 하되, 아동의 그림을 대할 때는 그것을 모두 잊어야 한다.

 

1. 조형요소와 원리

순수미술과 미술교육의 기본 철학 사이의 차이점 중 하나는 조화로운 조형에 대한 강조에서 야기된다. 순수미술은 창작 작품 그 자체에 더 관련이 있는 반면 미술교육은 주로 미술과정이 개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다루고 있다. 즉 순수미술에서의 미적 성장은 일반적으로 조형요소 그 자체의 조화로운 구성에 관련되며, 미술교육은 그런 조형요소의 훌륭하고 통합된 조화로운 구성이 개인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심을 기울인다고 말할 수 있다.

예술(예술가)이 되기 위한 교육과 미술치료가 되기 위한 교육이 다르다는 점을 시사한다.

어떤 개인에게도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뚜렷한 형태의 법칙이 없다면 어떻게 해야(미적 기준이 없으므로) 오늘날 미술교육에서 미적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까? 가장 결정적으로 중요한 미적 교육은 개별적인 미적 창작품에 대한 비평이나 지도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런 그림이 잘했으니까 이렇게 가야 돼 가 아니라, 각각 개인에 맞는 경험을 얼마나 의미 있게 자아동일화 되어서 표현되었느냐가 바로 미적 성장이다.

 

1)선

몰리뱅의 그림수업 꼭 사서 연습을 해보라

2) 공간

3) 명암

상투적 주입식 방식으로 하지 않고 명암의 의미를 얘기하고 결정을 내리면 된다.

4) 색채

시각형과 촉각형이 다르다. 전자는 눈에 보이는 객관적으로, 후자는 자신에게의 주관적 의미를 강조한다.

그레이브스는 색채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결론으로 말한다. “노랑 빨강 오렌지 같은 따듯한 색들은 긍정적, 적극적, 활동적, 자극적이다. 그와 비교해 바다색 파란색 녹색은 소극적, 내향적이며 조용하고 차갑다. 색의 선호도는1 빨간색 2 파란색 3 보라색 4 녹색 5 오렌지색 6 노란색 순서이며 좁은 부분에서 사용 시 혼합색보다 순색을 선호한다”

수천 명 연구결과라 하더라도, 일반적 타당성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나의 내담자는 이럴 수 있다는,동시에 양 지점을 균형 잡는 자세가 중요하다. 색채심리를 일반화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다.

5) 통일

 

2. 소비자를 위한 미학

기정, 제도, 공장, 공원 등을 선택하면서 사회적 현실적인 사항들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이것들이 갖고 있는 형태, 도시 재개발 계획의 특성, 금권 선거 등은 미적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의 미적 판단에 의해 좌우되기도 한다. 우리에게 계속 직면해 오는 잘못된 것들을 주의 깊고 철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미술을 함으로써 인간들이 만든 것들과 인격에 건전함과 진리를 가져올 수 있으려면 미적 교육을 통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미술에 대한 생산자보다 소비자가 될 확률이 높다. 생산자가 되기 위한 교육과 소비자가 되기 위한 교육은 다를 수 있다. 우리나라 공원은 왜 디자인적으로 좋지 못한가 그것은 디자인의 한계가 아니라 그것을 채택하는 공무원, 대표의 미적 수준이다. 마찬가지로 아이들이 창의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부모, 교사의 한계다. 결정권자나 영향을 미치는 자의 한계다. 디카를 가장 먼저 발견한 회사가 바로 코닥임에도 경영진의 한계로 인해 해당 분야에서 먼저 망하게 되었다.

 

 

요약:
어린이들이 조형 예술과 그림 해석을 이해하도록 지도하는 데 있어 교사의 중요성을 확인합니다. 이는 창의적 작업에 대한 미술의 초점과 개인 개발에 대한 미술 교육의 강조를 대조합니다.  
미적 성장에 있어 선, 공간, 대비, 색, 통일성 등 조형 요소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예술적 표현의 주관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사회적 결정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미적 교육의 역할을 다루고 예술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구별을 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는 의사결정자의 미적 인식이 사회의 다양한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봅니다.

 

반응형